금리
-
(경제용어) 불 플래트닝(Bull Plattening)과 베어 플래트닝(Bear Plattening)Economics 2021. 11. 24. 10:49
올려서 평탄하게 한다, 내려서 평탄하게 한다. 수익곡선을 평탄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용어로 해석된다. 불 플래트닝 인플레 기대(우려) 감소 -> 정책(기준)금리 동결 또는 인하 가능성 -> 장기채권 가격 상승 -> 장기금리 하락 베어 플래트닝 인플레 기대(우려) 증가 -> 정책(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장기채권 가격 하락 -> 장기금리 상승 < 단기금리 상승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빠르게 상승해서 수익곡선이 평탄해지는 것) https://blog.daum.net/sukhyun0912/625 [시사금융용어 3분해설] '불 플래트닝'과 '베어 플래트닝' ◆ 오는 8월 美 FOMC에서 정책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이 점점 설득력을 더 해가면서 글로벌 채권시장에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과 일본 ..
-
채권과 금리의 관계Economics 2019. 8. 23. 12:24
https://news.joins.com/article/11319764 [틴틴경제] Q. 기준금리와 채권 값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일러스트=강일구]얼마 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을 때 채권 값이 폭락했다는 소식이 여기저기서 나왔습니다. 금리와 채권 가격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기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건가요.A 채권이 뭔지는 모두들 알 겁니다. 대략 ‘얼마를 빌렸고(융자금) 언제까지 갚을 것(만기)이며 이자는 얼마를 주겠다고 명시한 news.joins.com 금리가 내리면 채권이 상승하고, 금리가 오르면 채권이 떨어진다. 예를들어 1억짜리 채권, 금리 4%, 1년만기일때 1년이 지나면 1억4백만원을 돌려받는다. 중간에 금리가 3.5%로 내려가고 채권을 구매하려는 사람이 있을 시 앞서 채권을 산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