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과 금리의 관계Economics 2019. 8. 23. 12:24
https://news.joins.com/article/11319764
[틴틴경제] Q. 기준금리와 채권 값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일러스트=강일구]얼마 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을 때 채권 값이 폭락했다는 소식이 여기저기서 나왔습니다. 금리와 채권 가격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기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건가요.A 채권이 뭔지는 모두들 알 겁니다. 대략 ‘얼마를 빌렸고(융자금) 언제까지 갚을 것(만기)이며 이자는 얼마를 주겠다고 명시한
news.joins.com
금리가 내리면 채권이 상승하고,
금리가 오르면 채권이 떨어진다.
예를들어 1억짜리 채권, 금리 4%, 1년만기일때
1년이 지나면 1억4백만원을 돌려받는다.
중간에 금리가 3.5%로 내려가고
채권을 구매하려는 사람이 있을 시
앞서 채권을 산 사람에게서 1억짜리 채권을 40만원 웃돈을 주고 1억40만원에 사게될 경우
금리 3.5%를 적용해 채권을 산 경우보다 수익이 더 높다.
채권가 1억40만 투자 / 금리 3.5% -> 수익: 1억351만4000원
채권가 1억40만 투자/ 금리 4% -> 수익: 1억400만원 - 40만원 = 1억360만원
따라서 8만6천원 가량 더 큰 수익이 발생한다.
100400000/360 * 100 = 약3.5%
-----------------------------------
https://brunch.co.kr/@rickeygo/75
채권 금리 역전이 경기 불황을 예고하는 조짐인 이유.
10년 만에 장단기 채권 금리가 역전된 미국, 임박한 한국. | <요약> 1. 장기 채권의 금리(수익률)가 단기 채권보다 낮아지는 건 경기 침체의 강한 신호로 여겨짐. 2. 미국에선 2018년 12월 초 3, 5년 채권 금리가 역전됨. 한국도 10년 만에 금리 격차가 가장 좁아짐. 3. 경기가 침체될 수록 기준 금리는 내려가고, 기준 금리가 내려가면 만기가 오래 남은 장기 채권일 수록 수익률은 낮아지게 됨.(채권값 상승
brunch.co.kr
경기호황 -> 기준금리 상승 -> 채권값 하락 -> 채권 금리(수익률) 상승
-> 이머징 시장으로 자본 유입 -> 위험자산(발전기대) 선호 -> 미국채 가격 하락 -> 미국채 금리 상승
경기불황 -> 기준금리 하락 -> 채권값 상승 -> 채권 금리(수익률) 하락
-> 미국으로 자본 유입 -> 안전자산 선호 -> 미국채 가격 상승 -> 미국채 금리 하락
(*채권은 만기시 받는 금액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다른 투자 상품과는 다르게 채권값과 수익률이 반비례
ex) 채권값 떨어졌을때 구입, 만기 시 정해진 돈 받음 )
경기불황 -> 장기채 단기채 금리 역전 현상 (장기채 금리가 단기채 금리보다 낮아지는 현상)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554
홍선표 기자의 써먹는 경제경영 (by 홍선표)
여러분의 경제 해설사 홍선표 기자입니다. 경제 이슈에 대한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 곳은 많습니다. 다만 대부분 이슈만 따라가다보니 만들어진지 며칠만 지나면 정보의 가치가 크게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저는 좀 다른 경제 콘텐츠를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몇년 후에 들어도 '촌스럽지 않고', 듣는 이들의 경제 지식을 높이는데 꾸준히 도움되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습니다. '실업률이 4%라는데 왜 고용률은 96%가 아닐까?', '30대 대기업 매출이 GDP보다 많다
audioclip.naver.com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불 플래트닝(Bull Plattening)과 베어 플래트닝(Bear Plattening) (0) 2021.11.24 [crypto] upbit KRW market (2018-01-01~) (0) 2020.01.31 [주식] 주가 비교 차트 (0) 2020.01.22 repo시장, 환매조건부채권(RP) 란? (0) 2020.01.02